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Mr. Walle

일본 온천 3

[일본의 면류] 쫄깃한 '일본 우동 반죽'의 이해

우동 반죽은 밀가루와 물, 소금을 섞어 만들게 됩니다. 반죽에 따라 쫄깃함의 정도가 다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재료의 배합비와 반죽 방법의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동의 쫄깃한 식감의 근원: 단백질 글루텐이 만들어내는 '점탄성'일반적인 밀가루의 경우에는 10% 안팎이 단백질이고 또 그의 85%를 거의 같은 양의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라는 두 가지 단백질이 차지하고 있습니다.글리아딘은 1개의 많은 아미노산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폴리펩타이드 사슬에 여러 개의 당이 달라붙은 당단백질의 일종입니다. 물에는 녹지 않지만 에탄올에는 70~80% 녹게 됩니다. 이 단백질이 흡수되면 점착력이 생깁니다. 한편 글루테닌은 여러 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디설파이드(S-S)결합'이..

[로텐부로] 일본 겨울 온천 ‘로텐부로(露天風呂)'의 종류와 이해. 일본 제일의 로텐부로, 미타마노유(みたまの湯)

로텐부로(露天風呂; 노천탕)의 이해로텐부로(노천탕)라고하면, 눈 오는 풍경속 평화롭게 온천욕을 하는 풍경이 떠오를 것입니다. 또는 원숭이가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에 들어가 여유롭게 즐기는 모습을 어디선가 본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는 일본만의 아름답고 특징있는 겨울 풍경으로 자주 소개 됩니다. 로텐부로에는 두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로텐부로'와 '한로텐부로(반노천탕)라고 구별 짓는다고 합니다.         로텐부로(露天風呂)의 기본은 야외로텐부로는 기본적으로 실외에 목욕시설을 갖추어 놓은 온천을 가리킵니다. '항상 바깥 공기가 흘러들어오는 상태의 목욕'을 로텐부로라고 정의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노천탕에 지붕이 있기도 합니다. 지붕..

[일본의 온천] 일본 온천(温泉, 온센)의 역사와 유래

일본의 온천(温泉) 일본의 온천 이용 기록에 대해서는 약 13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 온천이 시작된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일본서기(日本書紀) 등의 오래된 책에 '천황의 온천 행차(天皇の温泉行幸)에 얽힌 기술이 있어 나라시대에는 이미 널리 '온천'의 존재가 알려져 있었다고 합니다. 일본은 지형적으로 화산대 위에 있고 화산성 온천이 많은 것으로 보아 그 존재가 역사적으로도 일찍부터 알려져 있었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예전에는 '탕(湯)'이나 '온탕(温湯)' 등도 온천을 가리키는 호칭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각지에서 풍토를 기록하고 편찬된 '풍토기(風土記)'에는 온천에 대한 기술이 종종 나타납니다. 일본 온천(温泉)의 발상지 역사상 일본에 오래전부터 있는 온천을 '일본산코탕(日本三古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