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Simplified) English Italian Japanese Korean Portuguese Spanish
Mr. Walle

로텐부로 3

[일본의 교통] 일본의 대중교통 '버스' 타는 법

일본에서 버스 타는 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문과 뒷문의 사용법과 요금에 대해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본 버스는 지역에 따라 앞문으로 타기도 하고, 뒷문으로 타기도 합니다. 요금을 먼저 내기도 하고, 나중에 내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의 버스 타는 법과 알아두어야 할 주의 사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본의 버스 타는 법: '지역마다 다르다' 일본에서 버스를 탈 때는 주변 승객분들의 버스 이용법을 참고하는 것이 우선 좋습니다. 일본의 버스 타는 법은 한마디로 정리하면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앞문, 뒷문 중 어느 쪽으로 타야 하는지, 요금은 탈 때 내야 하는지, 내릴 때 정산해야 하는지 몇 가지 패턴이 있습니다. 버스 이용 전에 살펴보고 기억해 두고, 눈치껏 주변 승객..

[일본의 온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 '도고온천(道後温泉)'의 역사

도고온센(道後温泉, 도고온천) 명칭의 유래 도고온센은 대화개신(大化改新, 645년)에 의해서 각국에 국부가 놓여, 이 국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전(道前), 도중(道中), 도고(道後)의 명칭이 생겨났습니다. 도중(道中)은 국부가 있는 지역을 말하며, 경을 향해 국부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곳을 도전(道前), 후부(後部)에 해당하는 곳을 도고(道後)라고 부른 것입니다. 따라서 중세의 도고(道後)는 오늘날의 이마바리시(今治市)보다 남쪽을 총칭한 것이지만, 근세에 들어서는 온천이 샘솟는 지금의 도고로 한정하여 말하게 되었습니다. 도고온센(道後温泉, 도고온천), 백로의 전설(白鷺の伝説) 백로의 전설은 다리에 상처를 입고 고통스러워하던 한 마리의 백로가 바위틈에서 샘솟는 온천을 발견하고 매일 날아와 그 안에 발을 담그..

[로텐부로] 일본 겨울 온천 ‘로텐부로(露天風呂)'의 종류와 이해. 일본 제일의 로텐부로, 미타마노유(みたまの湯)

로텐부로(露天風呂; 노천탕)의 이해로텐부로(노천탕)라고하면, 눈 오는 풍경속 평화롭게 온천욕을 하는 풍경이 떠오를 것입니다. 또는 원숭이가 김이 모락모락 나는 온천에 들어가 여유롭게 즐기는 모습을 어디선가 본적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는 일본만의 아름답고 특징있는 겨울 풍경으로 자주 소개 됩니다. 로텐부로에는 두 종류가 있다고 합니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로텐부로'와 '한로텐부로(반노천탕)라고 구별 짓는다고 합니다.         로텐부로(露天風呂)의 기본은 야외로텐부로는 기본적으로 실외에 목욕시설을 갖추어 놓은 온천을 가리킵니다. '항상 바깥 공기가 흘러들어오는 상태의 목욕'을 로텐부로라고 정의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노천탕에 지붕이 있기도 합니다. 지붕..